1. 치수 스타일에 들어간다.

2. 수정을 클릭

3. [Primary Units] 탭 클릭

4. Unit format를 [그림2]와 같이 Windows Desktop으로 변경한 후, OK를 클릭한다.


[그림1]


[그림2]

 

AutoCAD 2014에 사용자 응용프로그램-일명 3rd Party-을 설치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경고 메시지가 나타난다.

 

 

이는 AutoCAD 2014의 새로운 보안 기능때문에 나타나는 메시지 인데,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방법1) 위 파일을 AutoCAD 2014 폴더 내에 복사한다.

방법2) Options>File에서 지원경로에 위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를 지정한다.

방법3) 시스템 변수 설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명령: SECURELOAD [엔터]

                  <0> 으로 설정한다.

 

위 세가지 방법 중 세 번째의 것을 추천한다.

출처 : 캐드 세상
글쓴이 : 박수영 원글보기
메모 :

 

인벤터에는 컨텐츠 센터라는 멋진 공간이 있어 기계요소 부품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열심히 삽입한 볼트/너트와 같은 컨텐츠 센터 부품들이 자신의 컴퓨터에서는 잘 열렸으나 다른 작업자에게 전달만 하면 경로를 찾을 수 없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열리지 않는 것을 한번쯤을 경험하였을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텐츠 센터 부품의 저장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동영상을 올리니 참고바란다.

[동영상1]

출처 : 캐드 세상
글쓴이 : 박수영 원글보기
메모 :

혹시, 분명히 Plot style가 있는데 [누락됨]이라는 표시를 본적이 없는가? 만약에 그렇다면 플롯 스타일 유형을

확인해 봐야 한다.

 

Plot style에는 CTB와 STB 두 가지 스타일이 있다.

 

1. CTB: 색상을 기준으로 선가중치 설정

2. STB: 레이어를 기준으로 선가중치 설정

 

이것은 도면 템플릿으로 무엇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1. acad.dwt, acadiso.dwt : CTB

2. acad-Named Plot Styles.dwt, acadiso-Named Plot Styles.dwt : STB

 

[그림1]

 

[그림2]

 

[그림3]

이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Plot style가 CTB입니다.

 

그럼 이 두 스타일을 서로 변환해주는 방법은 없을까요?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convertpstyles

 

라는 명령어 입니다.

 

그러면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자.

 

[STB to CTB]

 

1. 명령 창에 CONVERTPSTYLES 를 입력한 후, 실행한다.

 

[그림4]

 

2. 다음 [그림5]와 같이 메시지 박스가 나타나면 확인을 클릭하면 된다.

 

[그림5]

 

3. 그러면 플롯 스타일이 STB에서 CTB로 변경된다.

 

 

[CTB to STB]

 

CTB에서 STB로 변경할 때에도 같은 명령을 사용하지만 선행되어야 할 명령/작업이 있다. 바로 변경할 STB파일을

먼저 생성하는 일이다.

 

1. 명령 창에 CONVERTPCTB 를 입력한 후, 실행한다.

 

[그림6]

 

2. STB 스타일로 변경할 CTB 스타일을 선택한 후, 열기를 클릭한다. 여기에서는 MONOCHROME.CTB를 선택했다.

 

[그림7]

 

3. STB파일 생성 대화창이 나타나면 STB파일 명을 지정한다. 여기에서는 Test로 지정했다.

 

[그림8]

 

4. 이제 [그림9]와 같이 명령을 실행한 후, 플롯 스타일을 변경하면 된다.

 

[그림9]

 

5. [그림10]과 같은 메시지 창이 나타나면 확인을 클릭한다.

 

[그림10]

 

6. 마찬가지로 확인을 클릭한다. [그림11]

 

[그림11]

 

7. 파일 선택 대화창이 나타나면 방금 생성한 Test.STB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12]

 

8. 그러면 CTB 스타일이 STB 스타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캐드 세상
글쓴이 : 박수영 원글보기
메모 :

http://download.autodesk.com/esd/dwgtrueview/2011/SetupDWGTrueView2011_32bit.exe

http://download.autodesk.com/esd/dwgtrueview/2011/SetupDWGTrueView2011_64bit.exe

 

http://download.autodesk.com/esd/dlm/dwgtrueview/SetupDWGTrueView2010_32bit.exe

http://download.autodesk.com/esd/dlm/dwgtrueview/SetupDWGTrueView2010_64bit.exe

 

http://download.autodesk.com/esd/dwgtrueview/2009_32/SetupDWGTrueView2009_32bit_KOR.exe

http://download.autodesk.com/esd/dwgtrueview/2009_64/SetupDWGTrueView2009_64bit_KOR.exe

출처 : 캐드 세상
글쓴이 : 박수영 원글보기
메모 :

[증상]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면서 설치가 더 이상 되지 않는다.

이 현상은 Microsoft .NET Framework 1.1을 Base로 하는 AutoCAD 2006을 2.0 이상에서 설치할 때 나타난다.

 

[그림1]

  

 

[해결방법]

 

제어판>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Microsoft .NET Framework 2.0 을 제거한 후 재 설치를 한다.

출처 : 캐드 세상
글쓴이 : 박수영 원글보기
메모 :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면 템플릿 선택 대화상자가 나타나고 새 도면이 바로 열리지 않는다. 새로 만들기를 클릭했을 때 새 도면이 바로 열리기를 원하면 다음과 같이 한다.

 

1. 명령 창에 OPTIONS를 입력한 후, 실행한다.

2. 옵션 대화상자에서 파일 탭을 클릭한다.

3. 템플릿 설정을 확장한다.

4. 빠른 새도면의 기본 템플릿 파일 이름을 확장한다.

5. 없음을 클릭하면 대화상자의 오른쪽 위에 찾아보기가 활성화 된다.

6. 찾아보기를 클릭한 후, 파일 선택창에서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한다.

7. 열기를 클릭한다.

8. 확인을 클릭한다.

 

[그림1] 

 

출처 : 캐드 세상
글쓴이 : 박수영 원글보기
메모 :

 

 

 다음과 같이 도곽까지 완성했다면 이제 출력을 해보자. 다음 그림에서 빨간 외곽선은 용지 테두리이다. 이것을 유지해도 되지만

프린터마다 마진이 다르기 때문에 지우는 것이 좋다.

 

다음 그림과 같이 용지 테두리를 지운다.

 

플롯 명령을 실행한 뒤 다음과 같이 몇가지 설정을 한다. 먼저 Plot Name은 현재 작업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로 설정한다.

그리고 Paper size는 A4, A3 등 출력하고자 하는 사이즈로 설정한다. 축척에 맞게 출력을 위해서는 Plot area를 "Layout/배치"로

설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Plot style table는 흑백으로 출력시 "monochrome.ctb"로 설정하면 된다. 이제 "Preview"를 해보자.

 

다음과 같이 용지의 정중앙에 배치되지 않고 한쪽으로 편심이 생긴다. 맨위에서 용지 테두리를 지웠는데 왜 미리보기에서 도곽이

두줄로 나오지하고 의아해 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왜 편심이 생기는지 확인을 시켜주기 위해서 필자가 용지 테두리를 그대로 두고

"미리보기"를 실행시켰다. 그래서 두줄이 생긴 것에 대해 의아해 할 필요는 없다. 그러면 설명을 잠시 드리자면 분명 하얀 종이의

테두리와 용지 테두리는 같아야 하는데 떨어져 있다. 이것은 프린터마다 고유의 마진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프린터 마진을 "0"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다음으로 넘어가자.

 

프린터 마진을 없애기 위해서 "속성/Properties"를 클릭한다. 그러면 "Plotter Configuration Editor"이라는 창이 나타나고 거기에서

빨간 사각형 부분을 선택한다.

 

그리고 그 아래 "Modify Standard Paper Sizes" 창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용지의 크기를 선택한 후, 우측의 "Modify"를 클릭하자.

그러면 다음과 같이 "Custom Paper Size"라는 창이 나타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프린터 마진이 각각 5mm로 주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는 마진을 모두 "0"으로 변경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른다.

 

다음 창에서는 그냥 "다음"을 누르자.

 

"마침"을 누르고 빠져 나간다.

 

"Changes to a Printer Configuration"이라는 창이 나타나면 그냥 "확인"을 누르자.

 

이제 모든 설정이 끝났다. "미리보기"를 해보자. 자 어떤가.?! 제대로다.

 

지금까지의 설정은 현재 도면에만 적용이 된다. 모든 도면에 설정을 하고 싶을 때에는 "페이지 설정"에서 모든 설정을 한 후,

이렇게 설정된 도면을 Template파일로 저장을 해두면 된다. 그러면 언제나 새파일을 열면 설정된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 감사합니다. -

 

출처 : AutoCAD로 만드는 세상
글쓴이 : 오토캐드 원글보기
메모 :

2009버전에서 Xline이 다음과 같이 그려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ATI 드라이브의 문제점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command : 3dconfig [enter] 를 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난다. 여기서 [Manual Tune]을 선택하자.

 

다음과 같은 창이 뜨면 맨 위에 "Enable hardware acceleration"의 체크를 해제한 후 "OK"를 클릭한다.

그러면 ATI 드라이브에 의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출처 : AutoCAD로 만드는 세상
글쓴이 : 오토캐드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